가정간호사업소
가정간호사업
가정간호는 의사나 한의사가 의료기관외의 장소인 가정이나 요양원에서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가정전문간호사에게 치료나 관리를 의뢰한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전문간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치료 및 간호관리를 함으로써 질병과 장해로부터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 가정간호제도는 장기입원과 반복적인 병원방문으로 인한 환자와 보호자의 불 편과 의료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보건의료서비스입니다.
운영철학
가정간호가 필요한 대상자들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가정간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와 가족들이 겪고 있는 육체적, 경제적, 심리적 부담을 줄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전인간호, 인간중심 / 인간존중의 간호 -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관리 - 취약계층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- 통합 서비스 체계 구축 : 방문진료 - 의료취약계층, 거동불편대상자 방문진료 : 방문간호 - 2008년 장기요양보험 도입과 함께 운영하고 있는 재가방문 서비스 서비스 (노인장기요양 보험 장기요양 1~5등급 어르신) 방문요양, 방문목욕, 동반이동 서비스와 연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자원 연계
주요서비스
기본간호 (환자사정 포함)
- 건강상태 파악 및 관찰 사정
- 문제확인과 간호 진단
- 활력 증후, 혈압 등 측정
- 체위변경
- 온/냉 요법, 구강간호, 눈간호
- 인지훈련
- 교육 및 상담
검사
검사물 수집 : 혈액(Blood), 소변(Urine), 대변(Stool), 가래(Sputum),상처분비물(Wound culture),뇨당검사,반정량 혈당검사
투약 및 주사
내복투약관리 | 치료적간호 |
---|---|
- 근육주사 - 혈관주사(일반수액, 영양수액) - 피하주사수액 감시 및 관찰 - 기타 외용약 및 안약 투여 |
- 염증성 처치(욕창치료) - 비위관 교환 및 관리 - 위관영양(Levin tube feeding) - 도뇨관 삽입/단순도뇨 - 정체도뇨관 교환 및 간호 - 방광세척/요도세척 - 기관지 절제관 교환 및 간호 - 장루간호, 투석간호 - 상처치료 - 봉합선 제거 - 산소요법(산소흡입) - 배뇨,배변훈련 - 관장 - 관절운동 |